강원대학교 방재전문대학원
전 계 원
전 계 원
1) 주요 연구수행 실적
- 우수저류조 저장기법을 활용한 강원지역 홍수가뭄피해최소화 기술개발, 한국건설교통평가원, 2011년~현재
- 하천모니터링 및 하천하구 퇴적 지형조사, ㈜포스코엔지니어링, 2011년~현재
- 토석류 발생 및 거동분석을 위한 해석기법 수립, 한국건설교통평가원, 2008년~현재
- 소양강 사전모니터링 조사, ㈜한국종합기술, 2007년~2008년
- 강원도 재난특성 분석을 통한 대응방안 연구, 강원대학교, 2006년~2007년
- 숲가꾸기 산물이 산림재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산림청, 2006년~2007년
- 반야사지구 자동우량경보시설 운영방안(경보발령기준)설정에 관한 연구, 영동군, 2006년
- 한강수계 유량측정 조사용역, ㈜남원엔지니어링, 2006년~2007년
- 북한의 산업현황과 개발동향 연구, 수자원학회, 2005년~2006년
- 홍수유출과 수질예측을 위한 Web기반 시스템의 개발에 관한 연구, 충북환경기술개발센터, 2005년~2006년
2) 논문 실적
● 국내외 논문집
• 저감시설의 설치 유무에 따른 토석류 유출량 해석, 학국위기관리논집, 2013-03
• 강원도 지역의 가뭄피해 최소화를 위한 우수저류조 저장기법의 적용성 검토, 한국위기관리논집, 2013-02
• HEC-RAS를 이용한 오십천의 수위변화해석 : 태풍산바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3-02
• GIS기반 확률론적 기법을 이용한 산사태 및 토석류 위험지역분석, 한국안전학회지, 2012-12
• 댐방류량을 고려한 하류지역의 수리 안정성 검토, 한국안전학회지, 2012-12
• 우도비를 이용한 산지재해발생 위험인자 분석, 한국위기관리논집, 2012-10
• 산지재해연구를 위한 토석류실험장치의 개발 방안, 한국위기관리논집, 2012-06
• Kanako-1D를 이용한 토석류재해 지역의 수치모의, 한국위기관리논집, 2011-12
• 산지토사 재해발생예측을 위한 토양우량지수 적용가능성 검토, 한국위기관리논집, 2011-08
• 토석류 유발 특성인자분석에 관한 기초연구 - 경사,하천과의관계를중심으로-, 한국위기관리논집, 2011-06
• XP-SWMM모형을 이용한 침수지역의 수치모의, 한국위기관리논집, 2011-04
• GIS를 이용한 토석류 발생유역 위험성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안전학회지, 2011-04
• 바람자료를 이용한 파랑모의에 관한 연구-미계측해만을 중심으로-, 한국위기관리논집, 2011-02
• 토석류 발생피해지에 대한 분석 방안, 한국위기관리논집, 2011-02
• 실시간홍수예경보를 위한수위 예측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2010-12
• 지상LiDAR를 이용한 토석류 발생량 산정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2010-03
• 산악지역 돌발 홍수 기준우량결정에 관한 연구, 한국안전학회지, 2009-02
• The improvement of total organic carbonf orecasting us ingneural networks discharge model, Environmental Technology, 2003
•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in water quality forecasting, Environmental Technology, 2008-06
• 산불발생 후 소나무피해 및 식생복원 실태분석, 한국방재학회논문집, 2008-02
• CFD모형을 이용한 홍수조절지 여수로의 흐름 해석, 한국방재학회논문집, 2007-10
• 강원도 재난특성분석을 위한 방재의식조사, 한국방재학회논문집, 2007-08
• 신경망모형을 이용한 달천의 수질예측 시스템 구축, 상하수도학회지, 2007-06
• 저지대농경지의 홍수범람 분석, 한국농공학회논문집, 2007-03
• 숲가꾸기와 풍수해, 한국수자원학회지, 2006-09
• 방재분야인력양성과 교육의 필요성, 한국수자원학회지, 2006-04
• GIS를 활용한 돌발홍수 기준우량 결정, 한국지리정보학회지, 2006-03
• 댐여유고결정에 사용되는 파랑고 산정공식평가, 한국환경과학회지, 2005-12
• 명암저수지 잔교설치에 따른수리 특성분석, 충북대학교논문집, 2005-12
•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Web기반 홍수유출 예측시스템, 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2005-08
• 일급수량 예측을 위한 인공지능 모형구축, 상하수도학회지, 2005-08
• 동시 다중양수에 의한 지하수 수위강하 해석, 한국환경과학회지, 2004-12
• 공간정보를 이용한 분포형 유역 수질 모의, 한국수자원학회지, 2004-11
• 미호천유역의 유출해석을 위한 WMS모형의 적용, 한국수자원학회지, 2004-11
● 주요 국내외 학술발표회 논문집
• 저감시설의 설치조건변화에 따른 토석류 유출량 비교, 한국방재학회, 2013
• 수목식재방법을 활용한 토석류 저감공법도입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방재학회, 2013
• 지상LiDAR를 이용한 하구부지형 변화분석, 한국방재학회, 2013
• 하상토 입도분포분석을 통한 하상 변화관측에 관한 기초 연구, 한국방재학회, 2013
• GIS를 활용한 산지재해 발생특성 및 위험도 분석, 한국방재학회, 2013
• 지상 라이다를 활용한 서울 우면산 토석류 유출해석, 한국지리정보학회, 2012
• 지형변화를 고려한 지상 LiDAR자료의 필터링 방법에 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 2012
• 수치해석 모형을 이용한 토석류 저감시설의 위치 결정, 대한토목학회, 2012
• RCP기후 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미래 한강유역의 가뭄 전망, 대한토목학회, 2012
• GIS기반의 Weight of Evidence 기법을 이용한 토석류 및 산사태 예측도 분석, 대한토목학회, 2012
• ACase Study on the Predict ion of Debris-flow Occurred in Seoul, International symposium on sediment disasters & river environment in mount ainous area, 2012
• Application of Terrestrial Lidar for the Analysis of Debris-Flow Hazard Area, International symposium on sediment disasters & river environment in mount ainous areaa, 2012
• 산지토사 재해예보를 위한 강우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2012
• 빈도해석을 통한 영동지방의 극한 강우특성변화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2012
• 하구지역 하상변화분석을 위한 지상LiDAR의 활용, 한국수자원학회, 2012
• 강원지역 우수저류조 저장기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수자원학회, 2012
• GIS의 Weight of Evidence기법을 이용한 토석류 및 산사태 위험지역분석, 한국수자원학회, 2012
• 토석류 유출특성분석을 위한 실험적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2012
• 우수저류조 저장기법을 활용한 강원지역홍수/가뭄피해최소화기술개발연구의소개, 한국방재학회, 2012
• 지상라이다를 활용한 하구지역 토사이동 모니터링, 한국방재학회, 2012
• 유입유량에 의한 토석류발생의 토사농도분석실험에 관한 연구, 한국방재학회, 2012
• 토석류농도분석을 위한 실험적 연구, 대한토목학회, 2011
• Determinat ion of Debris-flow Reduction Facilities Locationusing Numerical Model, 2011한일방재전문가초청학술세미나, 2011
• 토석류 도달거리 예측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2011
• 신경망 모형을 이용한 집중호우 시수위 예측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2011
• 토석류 발생유역 특성과 하천과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2011
• 재해위험 지구침수 해석에 관한 연구, 한국방재학회, 2011
• 수치해석을 통한 토석류 사방댐 설치위치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방재학회, 2011
• 집중호우로 인한 토석류 발생지역의 해석 방법, 대한토목학회강원지회, 2010
• Risk assessment of debris flow disaster in Korea, International Symposiumon Sediment Disastersand River Environmentin Mountainous Area, 2010
• Analysis of rainfall trigger in gdebris flow, International Symposiumon Sediment Disastersand River Environmentin Mountainous Area, 2010
• Characteristics of Rainfall Triggering Debris Flowand Topographical Change, Kyoto University GCOE-ARS&AUN/SEED-NET, 2010
• 토석류 발생에 의한 지형변화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 2010
• Estimat ing the topographical change by debris flow using LiDAR, Waterand Sediment Disastersin East Asia, 2010
• A study on model development for analysis on debris flow, AGUHydrology days 2010 Conference, 2010
• 유역의 경사도와 하천거리에 따른 토석류 발생에 대한연구, 한국방재학회, 2010
• 제천토석류현장에 대한 지상LiDAR의 활용, 한국방재학회, 2010
• A case study on the correlat ion between thinning slash and floods in mountain areas, AOGS, 2007
• Spill way Design by 3DNumer ical Analysis, AOGS, 2007
• A Development of system for Web-Based Flood Runoff, AOGS, 2006
3) 저서 발표 현황
- 방재수리학, 신광문화사, 2011
- 방재사전, 한국방재협회, 2010
- 하천방재공학, 삼대기획, 2009
- (청소년을위한)방재안전길잡이, 삼대기획, 2009
- 사전재해영향평가모델링실무, 협신사, 2008
- 자연재해란무엇인가?, 협신사, 2008
- 토석류의 이해, 협신사, 2008
4) 수상 실적
- 학회 및 학술단체수상_논문상, 2013, 우수논문발표상, 한국방재학회
- 기관수상 및 수훈_장관급(도지사), 2010, 표창장, 행정안전부장관
- 기관수상 및 수훈_훈장, 2007, 소방방재청장 공적표창상, 소방방재청
- 학회 및 학술단체수상_논문상, 2005, 학위 논문상, 한국수자원학회
- 학회 및 학술단체수상_논문상, 2000, 우수 논문상, 대한토목학회
이 시 영
이 시 영
1) 주요 연구수행 실적
연구제목 | 연구기간 | 소속 기관 |
역할(연구책임자 또는 연구원) |
연구비 지급기관 |
---|---|---|---|---|
산불확산 예측 및 재발화 감시서비스 설계 및 검증(1년차) | 2018.08.01.-2018.12.31 | 강원대학교 | 연구책임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전에 대한 산불화재 영향분석 및 완화대책 수립 | 2017.10.01.-2018.8.31 | 강원대학교 | 연구책임자 | 정보통신부 |
연료습도 측정센서 적합성 검증 및 현장적용 | 2017.02.23.-2017.10.31 | 강원대학교 | 연구책임자 | 산림과학원 |
원전에 대한 산불화재 영향분석 및 완화대책 수립 | 2016.10.01.-2017.8.31 | 강원대학교 | 연구책임자 | 정보통신부 |
전국산불방지 장기대책(2017∼2021) 수립을 위한 연구용역 | 2016.05.09.-2016.07.01 | 강원대학교 | 연구책임자 | 산림청 |
軍 사격장 산불피해 저감 방안 마련을 위한 용역 | 2016.04.28.-2016.09.25 | 강원대학교 | 연구책임자 | 산림청 |
연료습도 측정센서 제작 및 현장적용 시험 | 2016.02.18.-2016.10.31 | 강원대학교 | 연구책임자 | 산림과학원 |
산불원인 분류체계 개선 및 소방임야화재와의 통계 정립 | 2015.06.16.-2015.11.30. | 강원대학교 | 연구책임자 | 산림과학원 |
강원도형 산불원인지표 및 수사 감식법 매뉴얼 개발 | 2014.12.15.-2015.7.12 | 강원대학교 | 연구책임자 | 강원도청 |
산불방지 학생교육 실태조사 및 학생 등 표준교재 작성 용역 | 2014.06.24.-2014.10.22 | 강원대학교 | 연구책임자 | 산림청 |
산림인접 시설물 발화가능성 평가 도구 개발 | 2014.02.01.-2014.11.30 | 강원대학교 | 연구책임자 | 산림과학원 |
산림 내 주요 시설물지역 산불피해 저감기술 개발 | 2012.06.01-2015.04.14 | 강원대학교 | 연구책임자 | 산림청 |
산불방지인력의 교육 프로그램 및 산불전문자격제도 도입방안 | 2013.06.27-2013.10.24 | 강원대학교 | 연구책임자 | 산림청 |
산림인접지 시설별 이격거리 산정방법 제시 | 2012.02.01-2012.11.30 | 강원대학교 | 연구책임자 | 산림과학원 |
산림인접지 산불위험성 평가 기법 개발 | 2011.02.14-2011.11.30 | 강원대학교 | 연구책임자 | 산림과학원 |
2) 논문 실적
(가) SCI 논문집
번호 | 연구논문발표 | 발표학회 | 발표일 |
---|---|---|---|
1 | A Study on the Combustion of Living Leaves of Abors for Crown Fire Identification in Korean Warm Temperate Forest Zone(SCI) | Journal of the Faculty of Agriculture Kyushu University | 2013-02 |
2 | Development of a woody fuel moisture prediction model following rainfall events for a deciduous forest in Yeongdong region of Korea(SCI) | Journal of the Faculty of Agriculture Kyushu University | 2013-02 |
3 | Estimating the spatial pattern of human-caused forest fires using a generalized linear mixed model with spatial autocorrelation in South Korea(SCI) |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cience | 2012-02 |
4 | Fire Investigation via Analysis of Ignition Characteristics and Carbon Emissions of Fire-prone Surface Fuels in Korea | Journal of the Faculty of Agriculture Kyushu University | 2012-02 |
5 | Predicting the Potential Impact of Climate Change on People-Caused Forest Fire Occurrence in South Korea(SCI) | Journal of the Faculty of Agriculture Kyushu University | 2012-02 |
6 | Basidiocarp formation by Inonotus obliquus on a living paper birch tree(SCI) | European Journal of Forest Pathology | 2011-04 |
7 | Changes in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Living Leaves of Pinus Densiflora by Altitude(SCI) | Journal of the Faculty of Agriculture Kyushu University | 2010-10 |
8 | Changes in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Living Quercus Mongolica Leaves with Altitude Variation(SCI) | Journal of the Faculty of Agriculture Kyushu University | 2010-10 |
9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Forest Fire Danger Rating System in South Korea(SCI) | Journal of the Faculty of Agriculture Kyushu University | 2010-10 |
10 | Evaluation for Damaged Degree of Vegetation by Forest Fire using Lidar and a Digital Aerial Photograph(SCI) |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 2010-03 |
11 | Modelling the Probability of Japanese Red Pine Mortality After a Forest Fire in Korea(SCI) | Journal of the Faculty of Agriculture Kyushu University | 2010-02 |
12 | Net Fine Root Carbon Production in Pinus densiflora, Pinus koraiensis, Larix leptolepis and Quercus acutissima Stands, Gongju area, Chungnam Province, Korea(SCI) | Journal of the Faculty of Agriculture Kyushu University | 2010-02 |
13 | A Food Factory Strictly Managed by Fungus-growing Termites(SCI) | Journal of the Faculty of Agriculture Kyushu University | 2010-02 |
14 | A New Record of a Snowbank Fungus, Mycena overholtsii, from Japan(SCI) | Journal of the Faculty of Agriculture Kyushu University | 2010-02 |
15 | Armillaria Root Rot Caused by Armillaria Tabescens On Prunus Salicina in a Korean Garden(SCI) | Journal of the Faculty of Agriculture Kyushu University | 2009-10 |
16 | Detection of Tricholoma Matsutake in Soil After FOREST Fire in a Pinus Densiflora Forest in Korea(SCI) | Journal of the Faculty of Agriculture Kyushu University | 2009-10 |
17 | Rhizina Undulata Causing a Rhizina Root Rot on Larix Cajanderi in Siberian Taiga Forest of Yakutsk, Russia(SCI) | Journal of the Faculty of Agriculture Kyushu University | 2009-10 |
18 | Development of Forest Fire Spread Simulation on Up and Down Slope | Journal of the Faculty of Agriculture Kyushu University | 2009-02 |
(나) 국내 논문집
번호 | 연구논문발표 | 발표학회 | 발표일 |
---|---|---|---|
1 | 산림 내 주요 시설물들에 대한 공무원들의 산불위험 인식연구 | 한국방재학회 | 2012-10 |
2 | 산불통계로 본 우리나라의 산불특성 연구 | 한국방재학회 | 2012-10 |
3 | 목조 사찰화재의 유형별 진압대책에 관한 연구 | 한국화재소방학회 | 2012-08 |
4 | 고령화 사회에서의 소방인력 활용 및 서비스 개선방안 | 한국화재소방학회 | 2012-06 |
5 | 산림인접 시설물의 산불위험성에 대한 공무원들의 인식 연구 -경상북도 3개 시군을 중심으로 |
한국방재학회 | 2012-06 |
6 | 산불재난 교육에 대한 산림공무원들의 인식 연구 | 한국방재학회 | 2012-04 |
7 | 우리나라 주요 산불방지기술 변화 분석 | 한국방재학회 | 2012-04 |
8 | 소방의 재난대응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춘천시 신북읍 산사태 대응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화재소방학회 | 2012-04 |
9 | 헬기에 의한 산불공중진화 효과 및 안전성 인식 연구 | 한국화재소방학회 | 2012-04 |
10 | 영동지역 활엽수림에서의 강우 후 지표연료의 습도변화 분석 | 한국화재소방학회 | 2012-02 |
11 | 영동지역 봄·가을철소나무림에서 강우 후 연료습도 변화비교 - 지표연료 및 토양습도를 중심으로 |
한국방재학회지 | 2011-12 |
12 | 우리나라 30 ha 이상 산불피해의 분포 및 특성 분석 | 한국화재소방학회 | 2011-10 |
13 | CCGIS를 활용한 강원도 산불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 한국방재학회 | 2011-08 |
14 | 우리나라 방화원인조사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한국방재학회 | 2011-08 |
15 | 통계자료에 의한 기상과 산불특성의 관련성 - 전라남도지방을 중심으로 |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 | 2011-08 |
16 | 강원 영동지역 봄철 산불대형화 영향 기상요소 분석 | 한국방재학회 | 2011-02 |
17 | Haines Index를 이용한 산불위험도 분석 |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 | 2010-12 |
18 | 재난관리 공무원의 재난대응 훈련에 관한 인식연구 - 일반 행정직공무원과 소방공무원을 중심으로 |
한국화재소방학회 | 2010-12 |
19 | 제조물 책임법에 따른 화재조사의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한국화재소방학회 | 2010-12 |
20 | 산불교육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한국화재소방학회 | 2010-12 |
21 | 산불 공중진화 방화선 구축형태 및 진화방법에 관한 연구 | 한국화재소방학회 | 2010-10 |
22 | 영동지역 봄철 소나무림에서 강우 후 연료습도 변화 예측모델 개발 - 지표연료 직경두께를 중심으로 |
한국화재소방학회 | 2010-08 |
23 | 우리나라 산불 발생의 원인별 공간적 특성 분석 | 한국임학회지 | 2010-06 |
24 | 소방공무원과 경찰공무원의 방화원인 조사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 | 한국화재소방학회 | 2010-06 |
25 | 굴참나무 생엽의 월별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 한국방재학회 | 2010-06 |
26 | 영농인들의 영농소각 실태 및 산불예방정책에 대한 의식조사 연구 | 한국화재소방학회 | 2010-04 |
27 | 영동지역 봄철 소나무림에서 연료습도 변화 예측모델개발 - 낙엽 및 토양습도를 중심으로 |
한국화재소방학회 | 2010-04 |
28 | 영동지역 주요 침엽수종 및 활엽수종 생엽의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 한국안전학회지 | 2009-08 |
29 | 산불적지에서 숲 가꾸기 실행 유무와 산불위험성 비교 분석 | 한국화재소방학회 | 2009-08 |
30 | 영동지역 5개 초본 수종의 연소특성 | 한국임학회지 | 2009-06 |
31 | 캐나다산불기상지수를이용한산불발생확률모형개발 -강원도 지역 산불발생을 중심으로 | 한국방재학회 | 2009-06 |
32 | 영동지역 관목류 5가지 수종 생엽의 연소특성 | 한국방재학회 | 2009-06 |
33 | 지표화 산불피해지의 수종별 임목 고사율 비교분석 | 한국방재학회 | 2009-04 |
34 | 산불진화 헬기의 물 살포유형 분석에 관한 연구 | 한국방재학회 | 2009-04 |
35 | 화재조사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한국화재소방학회 | 2009-04 |
36 | 영동지역의 주요 수종별 낙엽과 생엽의 열적특성 및 발화특성에 관한 연구 | 한국화재소방학회 | 2009-02 |
37 | 삼척지역 산불위험지 구분에 따른 감시시설의 위치 적합성에 관한 연구 | 한국화재소방학회 | 2008-09 |
38 | 소나무와 떡갈나무의 주요 부위별 열적특성에 관한 연구 | 한국화재소방학회 | 2008-03 |
39 | 숲가꾸기 산물의 적재형태에 따른 산불위험성 비교 분석 | 한국화재소방학회 | 2008-03 |
40 | 산불발생 후 소나무 피해 및 식생복원 실태분석 | 한국방재학회 | 2008-02 |
41 | 숲 가꾸기 실행 및 미 실행지의 임분특성에 따른 산불위험성 비교분석 | 한국화재소방학회 | 2007-12 |
42 | 산불현장 지상진화 행동매뉴얼 구축 방안 -국유림관리소 지상진화대원 업무를 중심으로 |
한국화재소방학회 | 2007-09 |
43 | 생물작용제를 포함한 대량살상용 생물학적 무기에 대한 역사 및 법률적 안전규제 사항에 관한 고찰 | 한국안전학회 | 2007-08 |
44 | 산불확산모델링에 적합한 경사계산 알고리즘 개발 | 한국지리정보학회 | 2007-06 |
45 | 2005년 양양산불 피해 소나무림의 연소량 추정 | 한국환경생태학회 | 2006-06 |
46 | 한국의 산불발생 실태분석 | 한국화재소방학회 | 2006-06 |
47 | 산불 방지를 위한 산악기상관측시스템 구축방안 | 한국농림기상학회 | 2006-03 |
48 | 2005년 강원도 양양산불 행동 특성 | 한국화재소방학회 | 2005-12 |
49 | 산불발화지점의 임상 및 지형특성을 이용한 위험지수 개발 | 한국화재소방학회 | 2005-12 |
50 | 산불통계자료를 이용한 산불위험지수 고찰 | 한국농림기상학회 | 2005-12 |
51 | 의성군지역 산불발생 및 대형화 위험지역 구분 | 한국지리정보학회 | 2005-06 |
3) 저서
- 비교 산불방재론(동화기술) 2012.08.20
- 산불현장대응론(동화기술) 2012.03.10
- 특수화재론(동화기술) 2012.03.10
- 소방교육학(동화기술) 2011.09.10
- 한국의 학술연구(선명인쇄주식회사) 2009.12.20
- 신고 산림보호학(향문사) 2008.09.25
- 산불화재공학(동화기술) 2007.08.10
4) 수상실적
- 2012 논문상 / 한국방재학회 2012년
- 2011 우수논문상 / 한국방재학회 2011년도 학술대회 우수논문
- 2010 녹조근정훈장 / 산림보호(산불방재)
- 2007 공적표창장 / 재난안전관리분야 국무총리상
5) 학(협)회 활동
- 2012 현재 행정안전부 / 지방자치단체 협동평가단 위원
- 2011 현재 산림청 / 산림정책평가위원
- 2011 현재 동부지방산림청 / 국유림경영관리위원
- 2011 현재 한국화재소방학회 / 사업이사
- 2011 현재 한국방재학회 / 산불방재위원회위원장
- 2010 현재 한국안전학회 / 재난안전분야 편집위원
- 2010 현재 한국임학회 / 평의원
곽 동 걸
곽 동 걸
• A Study on Isolated DCM Converter for High Efficiency and High Power Factor(2010, JEET)
• 고정밀 전류센서를 이용한 저압배전계통 이중 보호용 전기화재 방재장치(2009, 한국화재소방학회)
• A new boost dc-dc converter of high efficiency by using a partial resonant circuit(2009, IEICE_ELEX)
• Novel PFC ac-dc converter of high efficiencyused in 2kW fire electric installation(2007, IEICE_ELEX)
김 병 식
김 병 식
1) 주요 연구수행 실적
- 기후변화 대비 수자원 적응기술 개발 (2014-현재)
- 풍수해 직접·간접피해를 고려한 피해 산정 및 예측 기술개발 (2015-현재)
- 차량용 강우센서를 이용한 도로기상정보 생산 기술 개발 (2015-현재)
- 재난 위험성 3D가시화 재난손실 추정자료 분산공유 기술 개발, 국토교통부. (2014-현재)
- 극한 강우사상을 고려한 다기능 토석류 유출방지기술 개발, 자연재해저감기술개발사업단. (2014-현재)
- ETCCDI 지수를 이용한 강원지방의 극한지수 변화 전망, 강원대학교 전임교원기본. (2014-현재)
- 표준강수 증발산지수(SPEI)를 이용한 남한지역의 가뭄심도 평가, 강원대학교, (2012-현재)
- 기후변화에 따른 한강유역의 극대 홍수 및 가뭄 위험분석,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2-현재)
- 중·소하천 홍수 예·경보 체계 구축,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2012-현재)
- RCP 기후변화시나리오 기반의 기후변화를 고려한 설계 강우량 및 홍수량 산정 기법 개발, 한국연구재단, (2012-현재)
-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의 도시 폭우재해 영향평가 기술개발, 국토연구원, (2011-현재)
- 기후변화를 고려한 시간단위 이하 극한강우자료 모의기법 개발,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2011-현재)
- 수자원장기종합계획(2015-2020), 국토해양부(2012)
- 기후변화대응 미래수자원전략보고서(2010)
- 우수저류조 저장기법을 활용한 강원지역 홍수 가뭄피해 최소화 기술개발, 국토해양부(2009-현재)
- 한강유역 물개발 평가 (제3차 세계물개발보고서 한국 사례 연구), 국토해양부, (2008-2009)
- 국가기후변화 적응 마스터플랜 수립연구, 환경부, 2008년
- 기후변화 대비 국가 물 안보 확보 방안, 국토해양부, (2007 - 현재)
- 이상홍수에 대응기법의 국내외 사례조사,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2007년-현재)
- 강우레이더를 이용한 돌발홍수 시스템 개발(3차), 건설교통부 2007년
- 기후변화 대비 국가 물 안보 확보 방안, 국토해양부, (2007 - 현재)
- 이상홍수에 대응기법의 국내외 사례조사,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2007년-현재)
- 강우레이더를 이용한 돌발홍수 시스템 개발(3차), 건설교통부 2007년
- 만경강, 동진강 홍수예보 시스템 개선, 건설교통부 2006년
- 강우레이더를 이용한 돌발홍수 시스템 개발(2차), 건설교통부, 2006년
- 2006년 7월 태풍 및 집중호우 피해 조사, 건설교통부, 2006년
- 강우레이더를 이용한 돌발홍수 시스템 개발(1차), 건설교통부, 2005년
2) 논문 실적
Modeling Future Land Use Scenarios in South Korea: Applying the IPCC Special Report on Emissions Scenariosand the SLEUTH Model on a Local Scale 2015. 1 Environmental management SCI
Physically-Based One-Dimensional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Using the Finite Volume Method and Grid Network Flow Analysis 2014. 10 Terrestrial, Atmospheric and Oceanic Sciences (TAO) SCI
Climate Change Impact Assessment on Han River Long Term Runoff in South Korea Based on RCP Climate Change Scenario 2014. 10 Terrestrial, Atmospheric and Oceanic Sciences (TAO) SCI
Future Projection of Droughts over South Korea Using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RCPs) 2014. 10 Terrestrial, Atmospheric and Oceanic Sciences (TAO) SCI
Assessment of future water resources and water scarcityconsidering the factors of climate change and social–environmental change in Han River basin, Korea 2014. 07 Stoch Environ Res Risk Assess SCI
Hurst’s Memory for Chaotic, Tree Ring, and SOI Series 2013. 12 Applied Mathematics SCI
Evaluation of flash flood severity in Korea using the modified flash flood index (MFFI) 2014. 12 Journal of Flood Risk Management SCI
The Potential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Streamflow in Rivers Basin of Korea Using Rainfall Elasticity 2013. 03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Scopus
Analysis of Changes in Extreme Weather Events Using Extreme Indices 2011. 09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Scopus
Expert Team on Climate Change Detection and Indices (ETCCDI)를 이용한 강원지역 극한기상특성의 변화 분석 2014. 12 한국수자원학회 KCI
피해설문조사 기반의 도시지역의 침수심별 피해 추정함수 개발-건물피해를 중심으로- 2014. 08 한국수자원학회 KCI
대표농도경로를 이용한 영산강·섬진강 유역의 극한기후 변화전망 2014. 02 한국위기관리논집 KCI
RCP 8.5 기후변화시나리오를 이용한 기후변화가 영산강유역의 장기유출에 미치는 영향 평가 2014.02 한국위기관리논집 KCI
기후변화에 의한 한강유역 홍수유출량 영향 분석 2013. 11 한국위기관리논집 KCI
RCP 기후변화시나리오를 이용한 극한지수 변화 전망 2013. 11 한국수자원학회 KCI
레이더 강우자료와 분포형 S-RAT모형을 활용한 홍수유출모의 2013. 10 한국방재학회 KCI
강원지방의 강우특성 및 설계강우량의 변화 분석 2013. 07 한국위기관리논집 KCI
표준강수 증발산량지수(Standardized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index)와 대표농도경로(RepresentativeConcentration Pathways)를 이용한 남한지역 미래 가뭄의 변화전망 2013. 04 한국방재학회논문집 KCI
RCP 기후변화시나리오를 이용한 기후변화가 미호천 유역의 설계홍수량에 미치는 영향 평가 2013. 02 한국습지학회 KCI
기후변화를 고려한 도시 배수시설의 설계기준 설정 필요성 2013. 01 한국수자원학회 학회지 KCI
표준강수 증발산지수(SPEI)를 이용한 남한지역의 가뭄심도 평가 2012. 09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KCI
기후변화로 인한 극한 강우가 재해에 미치는 영향의 정량화 2012. 08 한국방재학회 KCI
통계적 객관 분석법에 의한 레이더강우 보정 및 Vflo를 이용한 홍수모의 2012. 05 한국습지학회 KCI
RCP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의 미래 극한강수의 비정상성 빈도해석 2012. 02 한국방재학회논문집 KCI
기후변동을 고려한 조건부 GEV 분포를 이용한 비정상성 빈도분석 2011. 12 한국습지학회 KCI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적용한 취수원 수질예측모형 평가 2011. 10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KCI
3) 수상 실적
- 2014년 한국방재학회 표창장 수상
- 2014년 소방방재청장 표창장 수상
- 2013년 한국수자원학회 우수논문상 수상
- 2013년 한국습지학회 표창장 수상
- 2013년 한국방재학회 우수논문상 수상
- 2013년 2000 Outstanding lntellectuals of the 21st Century 선정
- 2013년 세계3대 인명사전 IBC 등재
- 2012년 한국기후변화학회 최우수논문발표상 수상
- 2012년 2012 '마르퀴즈 후즈후' 세계 인명사전 등재
- 2010년 한국수자원학회 우수논문발표상 수상
- 2010년 한국습지학회 논문상 수상
- 2008년 대한토목학회 신진상 수상
- 2008년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우수논문상 수상
- 2008년 한국수자원학회 학회장상
- 2007년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 우수논문상 수상
- 2007년 한국습지학회 학술발표회 우수논문상 수상
- 2005년 한국수자원학회 학위논문상 수상
- 2005년 인하대학교 대학원장상
4) 전공분야 대외활동
2015 - 현재 : 강원도지방건설기술심의위원회 설계심의분과위원
2014 - 현재 : 강원도 하천관리위원회 위원
2014 - 현재 : 삼척시 사전재해 영향성 검토위원
2014 - 현재 : 강원도 사전재해 영향성 검토위원
2014 - 현재 : 자연재해저감기술개발 사업단 연구위원
2014 - 현재 : 환경관리공단 민자 설계 심의위원
2014 - 현재 : 강원도 건설 심의위원
2014 - 현재 : 소방방재청 자연재해 저감단, RND 발굴위원
2013 - 현재 : 기후변화센터 재해분과위원
2013 – 현재 : 강원도 소하천관리위원회 위원
2013 – 현재 : 동해시 소하천관리위원회 위원
2013 – 현재 : 동해시 설계자문위원회 위원
2013 – 현재 : 화순군 설계자문위원
2013 – 현재 : 삼척시 도시계획 위원회
2012 - 현재 : 강원도 사전재해영향성검토 위원
2012 - 현재 : 안성시 사전재해영향성검토 위원
2012 - 현재 : 삼척시 사전재해영향성검토 위원
2012 - 현재 : 방재전문인력 인증시험 위원
5) 학회활동
2014 - 현재 : 한국수자원학회 강원지회 대의원
2014 - 현재 : 한국방재협회 편집위원회 전문위원
2014 - 현재 : 한국방재협회 이사
2014 - 현재 : 대한토목학회 논문 편집위원
2012 - 현재 : Journal of Hydro-environment Research 편집위원
2007 - 현재 : 한국방재협회 편집위원
2005 - 현재 : 한국하천협회 위원
2005 - 현재 : 한국습지학회 논문편집위원
2005 - 현재 : 한국수자원학회 수문기상분과 논문편집위원
전 병 희
전 병 희
김 경 남
김 경 남
1. Synthesis and Photocatalytic Properties of Nano TiO2 Coated Fly Ash, Materials Science Forum Vol.439(2003), p308-313
2. The Removal of phosphorus Using Processed Oyster-Shell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ludge Produced, Waste Recycling and Management Research, Vol.8(1), 61-69(2003)
3. Preparation of advanced lime particles modified by coating, Research Center for Advanced Mineral Aggregate Composite Products, 8,41-46 (2003)
4. The properties of Permeability and Freeze-Thaw Resistance of Water-Permeable Paving Brick Using Wastes,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41[3], 210-215(2004)
5. The effects of hydrolysis and condensation reactions of mixed Si(OC2H5)4 and Zr(O-nC3H7)4 solutions on the rheological behaviors and the structure of polymers in the silica-zirconia sol-gel process, Journal of Ceramic Processing Research, Vol.5[1], 70-75(2004).
6. Effect of oxalic acid on the iron content of pottery ston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Crystal Growth 14[6], 257-261(2004).
7. Sol-Gel Derived TiO2 Coating for Chemical Protection of Stainless Steel, Materials Forum Vol,486- 487(May2005) pp.5-8
8. Synthesis of Calcium Carbonate from Calcium Chlorine Solution using Homogeneous Precipitation Method, Materials Science Forum Vol.486-487(May,2005) pp.542-545
9. Synthesis of CaCO3 Particles Modified by Coating with Nickle Precursor, Materials Science Forum Vol.486- 487(May,2005) pp. 546-549
10. Improvement of Corrosion Resistance of Stainless Steel by ZrO2-SiO2 Sol-gel Coatings, Materials Forum Vols, 510-511(March,2006) pp.442-445
11. High Grade Purification of Sericite by Hydrocyclone and Magnetic Seperation, Materials Forum Vols, 510-511(March,2006) pp.850-853
12.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Nano-size CoAl2O4 Spinel Powder Using Sol-Gel Process" Materials Science Forum Vol.544-545(2007) pp.869-872.
13. Manufacturing of Construction Materials from Municipal Incinerator Residue" Materials Science Forum Vol.569(2008) pp.209-212.
14. Synthesis of MgO Thin Film Deposited on Soda Lime Glass by Sol-gel Process" Materials Science Forum Vol.569(2008) pp.61-64.
15. TiO2 코팅 석탄회 복합체의 기상 Acetaldehyde 광분해특성, 한국세라믹학회지, 45[1], 43-47(2008)
16. 옥외폭로시험 TiO2 코팅 세라믹타일의 명도측정에 의한 방오특성평가, 한국세라믹학회지, 45[6], 345-349(2008).
17.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MgO Films deposited on Soda Lime Glass by a sol-gel process using magnesium acetate, Journal of Ceramic Processing Research, Vol.10[4],536-540(2009)
18. Preparation of fired brick as construction materials by replacing clay with municipal incinerator residue slag, Journal of Ceramic Processing Research, Vol.10[6],739-743(2009)
이 봉 섭
이 봉 섭
이 학 용
이 학 용
1. A Simplified analysing Method of Box Girder Considering the Effect of Shear Deformation 2000. 7
2. Earthquake Reistant Design of Continuous Bridge with Damper System 2001. 2
3. A Method for Nonlinear Dynamic Response Analysis of semi-infinite Foundation Using Mapping 2007. 3
김 원 덕
김 원 덕
윤 정 의
윤 정 의